몇 년 전에 미니빅 푸시미니를 구입해서 집에서 있을 때 안방에서 욕실 환풍기 스위치를 제어하거나, 외출 시에 타이머를 설정해서 몇 시간 있다가 꺼지게 설정을 해놔서 굉장히 편하게 생활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푸시미니는 블루투스로 연결되는거라 외출 시에는 임의로 환풍기를 끄고 켤 수가 없어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외출 시에도 푸시미니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IoT 디바이스, 허브미니 플러스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포장박스에서 허브미니+를 꺼내 보니 생각보다 훨씬 작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IPTV 리모컨과 비교해 본 사진인데 정말 아담했습니다.
허브미니는 앞면에는 적색 LED 램프가 있고 뒷면에는 C타입 단자가 있습니다. 전원케이블는 C타입으로 상시 전원을 연결해야 합니다. 그런데 치사하게 USB 어댑터(충전기)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매뉴얼에는 5V, 1A 전원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고 해서 일반적인 삼성 갤럭시 충전기는 아닌 것 같아 온 집안을 뒤져서 겨우 찾아 연결했습니다.
뒷면에는 리셋버튼이 있습니다. 3초 이상 누르면 LED 등이 10초 점멸하는데 그러면 미니빅 앱에 디바이스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허브미니+는 미니빅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거리 제한없이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더 대박인 것은구형 가전의 리모컨도 통합 제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IR 리모컨 신호를 360 방향으로 전달해 외출 시에도리모컨을 사용하는 가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제 아이폰 미니빅앱에 등록된 푸시미니와 리모컨으로 연결해서 IR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전들입니다. 티비, 선풍기, 에어컨, 셋탑박스를 연결해 두었습니다. 구형가전 리모컨을 등록하려면 우선 허브미니+ 클릭하고 "리모컨 기기 추가하기"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티비, 오디오, 프로젝터, 에어컨, 선풍기, 전등 등 제품을 종류를 선택하면 리모컨 설정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거기서 리모컨의 각 버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세팅을 찾아서 완료하면 됩니다.
미니빅 앱에서는 삼성, LG, 캐리어 등 다양한 가전의 리모컨 세팅이 이미 되어 있어서 편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LG 에어컨의 경우 셋팅 목록이 12가지나 있었습니다.
미니빅 앱에 없는 브랜드는 리모컨을 직접 학습시켜 원하는 리모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위 스크린샷 사진에서 "커스컴 모드를 통해 리모컨을 생성해보세요."를 클릭해서 바로 위 사진처럼 리모컨을 학습시키면 됩니다.
이렇게 구형 가전을 미니빅 앱에 등록시키면 시간, 날씨, 내 위치, 온도, 습도, 대기질 지수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타이머 및 시나리오 기능 등을 구현해 집안에 가전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령 집에 도착할 때 쯤 거실 선풍기와 에어컨을 자동으로 켜지도록 설정할 수 있고,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서 매일 아침 7시마다 티비를 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허브미니+를 통해 등록된 구형 가전기기들도 다른 미니빅 디바이스와 함께 구글홈, 클로바, 스마트씽스 등 외부서비스에 연동하여 음성으로 제어도 가능합니다. 우리집에서는 LG ThinQ에 연결할 수 없는 구형 LG 손연재 에어컨, 티비, 선풍기, 셋탑박스를 허브미니를 통해 구글홈에 연결하였습니다.
하지만, 허브미니+를 통한 구형 가전의 IoT 구성은 단점도 많이 있습니다. IR 신호를 통한 원격제어이기 때문에 송신 가능 거리는 허브미니+로부터 8m 내외 라서 거실과 주방에 있는 가전만 원활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리모컨 기능을 빌려와서 제어하는 것이라 실제로 허브미니를 등지고 있는 가전(정확히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가 허브미니를 등지고 있는 경우)은 실제로 켜졌는지 안 켜졌는지 100% 확신할 수 없습니다.
또한 허브미니는 일반적인 IoT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 통신이 아니라 블루투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미니빅 디바이스만 연결이 가능하고 연결거리도 짧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간단한 세팅만으로도 구형가전들도 구글홈에 등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매력적입니다. 지난번 나비엔 전열교환기 코콤월패드 연결을 시작으로 점점 자동화 되어지는 우리집이 멋져 보입니다.
2024.07.27 - [IT이야기] - 코콤 월패드와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통신 연결 성공, 전열교환기 스마트폰 Iot 원격 제어 되네요!
코콤 월패드와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통신 연결 성공, 전열교환기 스마트폰 Iot 원격 제어 되네
처음 아파트 입주할 때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아파트 환기를 위해 쓰는걸 알고 있었지만, 고기나 생선 구울 때 냄새 빼기 위해 가끔 사용하고 그외에는 켰다 껐다 하는게 귀
jlove823.tistory.com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콤 월패드와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통신 연결 성공, 전열교환기 스마트폰 IoT 원격 제어 되네요! (7) | 2024.07.27 |
---|---|
종이에 쓰면 디지털로 저장하는 네오스마트펜, 진짜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 (0) | 2024.03.28 |
엠베스트 / 엘리하이 탭 태블릿 초기화 전화 한통으로 간단히, 관리자 인증번호 입력 없어요. (2) | 2024.03.26 |
애플케어플러스 없는 아이폰 수리비용 확인하고, 아이폰 구매 후 59일 지나 애플케어플러스 가입 (0) | 2024.02.18 |
칸반보드 & 전체목록 보기, 새롭게 바뀐 구글할일(google tasks) 좋네요! (1)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