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이야기

코콤 월패드와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통신 연결 성공, 전열교환기 스마트폰 IoT 원격 제어 되네요!

by 스마일부부 2024. 7. 27.

처음 아파트 입주할 때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아파트 환기를 위해 쓰는걸 알고 있었지만, 고기나 생선 구울 때 냄새 빼기 위해  가끔 사용하고 그외에는 켰다 껐다 하는게 귀찮고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까봐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얼마전 우연치 않게 나비엔 케어서비스를 신청하면서,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전열교환기의 필터에 먼지 등 이물질이 엄청 낀 모습을 보았고, 24시간 자동운전 모드로 사용하면 귀찮게 켜고 끄고 할 필요도 없고 생각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지 않는다걸 알게 되고 본격적으로 전열교환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몇개월 전열교환기 24시간 자동모드 실사용한 결과, 아파트 전기요금이 딱히 많이 나온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24시간 자동운전 모드의 작동시간을 설명한 표 아래에 적어두었습니다. 

※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 24시간 자동운전 모드

시간대 풍량 비고
어제 저녁 10시 ~ 오늘 아침 7시 20분 가동 / 40분 정지(취침 시간대역)
오늘 아침 7시 ~ 오후 5시 10분 가동 / 50분 정지(활동 시간대역)
오늘 오후 5시 ~ 저녁 10시  40분 가동 / 20분 정지(거주 시간대역)

 


하지만, 전열교환기를 잘 사용하면서 불만이 한 가지 있었습니다. 아파트 중문 복도 옆에 있는 유선리모컨(룸콘)에서만 조작이 가능하고, 코콤 월패드나 스마트폰으로 조작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미니빅같은 스마트스위치를 이용하려고 해도 룸콘이 터치식이라 작동하지 않을거 같았고 주변에 스마트스위치도 붙일 수도 없었습니다. 
https://youtu.be/imLZtqdXdxI?si=iGJmt3bHyZbpNHev

그렇게 입주 몇 동안 고민만 하고 있던 차에 입주민카페 글에서 코콤월패드와 전열교환기를 연결할 수 있고 그러면 스마트폰으로 원격제어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관련 유튜브 동영상도 발견하였습니다.

쿠루가이의 스마트홈만들기 유튜브 영상

실제로 전열교환기 컨트롤러 부분 나사를 풀고 기판을 보니, 아파트 월패드가 보통 RS485라고 2선식 시리얼 통신을 한다고 하는데  위 사진에서 보듯이 RS485 통신선(검은색, 빨간색)이 끊어져 있었습니다. 전열교환기에 RS485 선이 있는데도 건설사나 코콤에서 월패드에 연결하지 않고 방치했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다행히 전열기교환기하고 룸콘하고는 파란색 UTP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었는데 UTP 케이블 안에 총 8가닥 4쌍의 선들 중 2쌍만 이용해서 롬콘하고 연결되었기에  2쌍의 여유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영상처럼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준비물은 UTP 케이블 30cm(그냥 보통 랜선임) 입니다.

  1. 룸콘으로 연결되는 UTP 케이블 안 2쌍의 여유분에다가 끊어진 RS485 통신선을 연결해서 룸콘까지 옵니다. 
  2. 룸콘 옆에 있는 일괄소등 스위치가 있는데 이 일괄소등 스위치는 월패드하고 제대로 RS485 통신선이 연결되어 있고, 역시 2쌍의 여유분 선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열교환기에서 롬콘까지 온 여유분 2쌍을 일괄소등 스위치 UTP 케이블 여유분 2쌍에다 연결합니다.
  3. 그리고 연결된 일괄소등 스위치 UTP 케이블 여유분 2쌍을 월패드 통신선에 연결하면 전열교환기에서부터 각각의 UTP 케이블 여유분 2쌍 선을 통해 월패드까지 RS485 통신선이 연결되게 됩니다. 

먼저 전열교환기에서 룸콘으로 연결되는 파란색 UTP 케이블 피복을 조금 벗겨내서 여유분 2쌍의 선을 찾아냅니다. 여기서는 갈색선 쌍하고 주황색선 쌍이 여유분이었습니다. 

이제 끊어진 전열교환기 RS485 통신선 중 빨간색선을 갈색선 쌍하고, 검은색 선을 주황색선 쌍에다 각각 연결합니다. RS485 통신선은 극성을 확인해서 연결해야 하는데 빨간 선은 D+, 검은 선은 D- 이니, 갈색선 쌍은 D+, 주황색선 쌍은 D-가 됩니다. 

이제 룸콘과 일괄소등 스위치를 모두 벽에서 떼어냅니다. (일괄소등 스위치 내부에 빨간 선, 흰 선, 검은 선은 220V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니 조심) 그리고 미리 준비된 30cm UTP 케이블 외피를 벗겨서 갈색 선쌍하고 주황색 쌍만 가지고 벽지 속을 통과해서 룸콘과 일괄소등 스위치 사이를 연결합니다. 

전열교환기에서 온 파란색 UTP 케이블 피복을 조금 벗겨내서 여유분인 갈색선 쌍과 주황색선 쌍을 준비해온 30cm UTP 케이블과 동일한 색상선으로 연결합니다. 

이제 일괄조명 스위치로 오면, 일괄조명 스위치에서 월패드로 가는 노란색 UTP 케이블 중 여유분은 갈색선 쌍하고 녹색선 쌍이 입니다. 저는 한쌍으로 연결하는게 이제 조금 힘들어서 녹색선 쌍만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녹색선 쌍 중 녹백선은 룸콘에서 온 갈색선 쌍(D+)으로 녹색선은 주황색선 쌍 (D-)으로 연결합니다. 

다음은 월패드로 옵니다. 월패드는 밑에 있는 스위치로 전원을 끄고 역시 밑부분에 있는 나사를 빼면 쉽게 분해됩니다. 

그리고 연결선을 모두 빼고 플라스틱 커버도 분해합니다. 

그러면 일괄소등 스위치에서 온 노란색 UTP선 중 청색선 쌍만 이용해서 청백선은 D+, 청색선은 D-로 연결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일괄소등 스위치에서 온 UTP 케이블 중 녹백선은 통신단자 D+에, 녹색선은 D-에 연결하고 월패드를 다시 설치하면 물리적인 작업은 마무리가 됩니다. (전에 일괄소등 스위치를 분리해서 UTP 케이블안에 직접 청색선쌍에다가 갈색선쌍하고 주황색선쌍을 연결하면 월패드 작업은 안 했어도 될 것 같았으나, 멀쩡한 청색선쌍을 절단하기 싫어서 위와 같은 작업을 하였습니다.)

쿠루가이의 스마트홈만들기 유튜브 영상

그리고 월패드를 다시 가동해서 설정 / 관리자모드(비밀번호 필요)로 들어가서 환기 탭에 V 체크 후 저장을 누르고 월패드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켭니다.  

드디어 월패드 제어메뉴에서 환기 탭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이제 월패드와 스마트폰의 코콤홈매니저앱에서 원격으로 전열교환기의 온오프와 풍량조절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우리집은 자동모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자동모드에서 원격 조작으로 전원을 끄고 다시 켜면 자동모드로 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모드로 실행이 되고, 원격제어로는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코콤에서 월패드와 스마트폰 앱의 업그레이드가 있었으면 좋겠으나, 2000년대초 앱 같이 촌스럽고 기능이 미약한 스마트폰 코콤앱의 상태를 보면 거의 불가능하지 않을까합니다. 

https://youtu.be/1SqaHRXVB3c?si=LGgJgWhNoBYb8YEt

그리고, 코콤월패드와 경동나비엔 전열교환기의 연결 작업을 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던 쿠루가이님 유튜브를 보다가 구글홈과 코콤월패드를 연결시켜주는 브릿지허브라는 제품를 설명하는 영상을 봤는데 지금은 품절이라 제품을 구할 수 없지만, 다음에 다시 판매된다면 꼭 구입해서 구글홈하고 월패드하고 연결해보고 싶더군요. 

댓글